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환경위해관리기사 시험일정, 합격률, 전망은?

by 초이,스토리 2022. 1. 23.

환경위해관리기사 시험일정, 합격률, 전망은?

 

환경위해관리기사 자격증은 최근 2년 동안 필기+실기 접수인원이 연평균 -5.8%씩 하락하며 인기가 다소 감소 중입니다.
 최근 시험트렌드 및 기본정보, 접수인원 및 합격자현황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ㅁ 5개년 합격률 분석

 



- 최근 5개년 필기 합격률은 56.7%, 실기 합격률은 18.0%입니다

- 최근 5개년 접수 남자평균은 573명, 여자평균은 403명으로 남자가 전체 응시자 중 59%, 여자가 전체 응시자 중 41%입니다
- 최근 5개년 필기+실기 접수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로 538명입니다
- 최근 5개년 필기 합격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로 168명입니다
- 최근 5개년 실기 합격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로 28명입니다

 

ㅁ 개요

 

 

환경과 건강 위해성을 예측하고, 위해성관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후 의사소통 및 저감 대책을 수립·관리하는 자격으로, 필기(유해성 확인 및 독성평가, 유해화학 물질안전 관리, 노출평가, 위해성 평가, 위해도 결정 및 관리) 및 실기(위해성 관리실무)시험에서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받은 자에게 부여함

 

 

ㅁ 시험 접수인원 분석

 

 

ㅇ 필기
- 필기 접수인원 16년 0명, 17년 0명, 18년 0명, 19년 728명, 20년 544명입니다
- 16년부터 20년까지 필기 접수인원 평균은 636명, 연평균증가율 -25.3%입니다

 

ㅇ 실기
- 실기 접수인원 16년 0명, 17년 0명, 18년 0명, 19년 248명, 20년 375명입니다
- 16년부터 20년까지 실기 접수인원 평균은 312명, 연평균증가율 51.2%입니다

 

ㅇ 연령별
- 최근 5개년 필기+실기 접수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0명(전체 응시자 중 0%), 20대 평균은 538명(전체 응시자 중 57%), 30대 평균은 262명(전체 응시자 중 28%), 40대 평균은 92명(전체 응시자 중 10%), 50대 평균은 50명(전체 응시자 중 5%), 60대이상 평균은 7명(전체 응시자 중 1%)입니다

 

ㅁ 합격자 분석

 

 

ㅇ 필기

- 필기 합격자수는 16년 0명, 17년 0명, 18년 0명, 19년 296명, 20년 269명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283명입니다
- 필기 합격률(%)는 16년 0.0%, 17년 0.0%, 18년 0.0%, 19년 54.8%, 20년 58.6%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56.7%입니다

 

ㅇ 실기

- 실기 합격자수는 16년 0명, 17년 0명, 18년 0명, 19년 57명, 20년 31명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44명입니다
- 실기 합격률(%)는 16년 0.0%, 17년 0.0%, 18년 0.0%, 19년 26.5%, 20년 9.5%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18.0%입니다

 

ㅇ 연령별

- 최근 5개년 필기합격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0명(전체 응시자 중 0%), 20대 평균은 168명(전체 응시자 중 59%), 30대 평균은 77명(전체 응시자 중 27%), 40대 평균은 23명(전체 응시자 중 8%), 50대 평균은 14명(전체 응시자 중 5%), 60대이상 평균은 3명(전체 응시자 중 1%)입니다

- 최근 5개년 실기합격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0명(전체 응시자 중 0%), 20대 평균은 28명(전체 응시자 중 159%), 30대 평균은 8명(전체 응시자 중 43%), 40대 평균은 5명(전체 응시자 중 28%), 50대 평균은 3명(전체 응시자 중 17%), 60대이상 평균은 1명(전체 응시자 중 6%)입니다

 

 

ㅁ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
(
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
(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2년 정기 기사 3 2022.06.07 ~ 2022.06.10 2022.07.02
~
2022.07.22
2022.08.10 2022.09.05 ~ 2022.09.08 2022.10.16~2022.10.28 2022.11.25

 

 

ㅁ 시험과목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환경, 화학 관련학과

③ 시험과목
 - 필기 : 1.유해성 확인 및 독성평가 2.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 3.노출평가, 4.위해성평가, 5.위해도 결정 및 관리
 - 실기 : 위해성 관리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학(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3시간, 100점)
⑤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ㅁ 진로 및 전망

 

 

향후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화의 진전으로 각종 환경오염과 전염병이 증가하고 있어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사업장에서도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근로자의 연령층이 증가하고 국민 개개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의 증가로 보건위생 및 환경문제를 조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예방조치를 강화하고 관련 법을 강화하는 등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은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은 사업체를 대상으로 보건위생과 환경 등 법적 기준을 준수하는지를 점검, 지도하고 교육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들의 일자리는 대상 사업체 수의 증가에 따라 결정되나 이들은 주로 중앙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으로 활동하고 있어 대규모의 일자리 증가는 쉽지 않다. 이들은 공무원 조직에서 식품위생(식품위생팀, 공중위생팀, 위생지도팀 등로구성), 환경(환경관리팀)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채용 규모는 매년 100여명 이내로 소규모이다. 식품위생직의 경우 2015 52(경력직 21)이 채용되었다. <참조:워크넷>

 

 

그 밖에 자격증 정보는 아래링크 참고해주세요

 

https://ttomine.tistory.com/category/%EC%9E%90%EA%B2%A9%EC%A6%9D 

 

'자격증' 카테고리의 글 목록

나, 우리 그리고 누군가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싶습니다.

ttomine.tistory.com

 

댓글